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금연뉴스

흡연 및 금연에 관한 국내외의 새로운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금연, 대사증후군 위험 낮춘다`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연, 대사증후군 위험 낮춘다`
작성자 길잡이 작성일 2009-05-29
출처 연합뉴스
서울성모병원 남성 3천900여명 조사.."지금이라도 끊어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담배를 끊으면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대사증후군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건강증진의학과 이강숙 교수팀은 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남성 3천9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흡연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비흡연자에 비해 크게 높았다고 29일 밝혔다. 조사대상자 중 비흡연자는 1천26명(26.2%), 과거흡연자(금연상태)는 1천293명(33.0%), 현재 흡연자는 1천597명(40.8%) 이었다. 대사증후군은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40㎎/㎝ 이하이면서, 혈압(130/85 mmHg), 혈당(110㎎/㎗), 혈중 중성지방(150㎎/㎗)은 높고 복부비만(9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보통 이중 3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다 연구결과를 보면 과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중성지방 수치가 1.35배,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1.25배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혈압과 혈당,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비흡연자에 비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1.29배에 달했으며, 혈중 중성지방은 2.12배나 높았다. 담배를 끊은 사람들에 비해서도 크게 높은 수치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3가지 이상 가지고 있는 경우는 현재 흡연자그룹에서 비흡연자그룹에 비해 2.37배가량 많았다. 이강숙 교수는 "주목할만한 점은 담배를 끊으면 계속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금연을 할 때는 비만도가 상승하는 만큼 규칙적인 운동을 함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예방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bi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출처 : 연합뉴스 2009. 05. 29]
이전, 다음 게시물 목록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담배 해독(害毒) 경고, 담뱃갑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다음글 담배연기 없는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