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길라잡이 금연도움받기 금연 성공자 인터뷰
블로그

금연매거진

금연 매거진 2025년 10월 2호 매거진표지

공지사항

공지사항 더보기
AI 검색요약 금연프로그램

금연공감_함께 실천해요

온라인 상담실

더보기

어린 나이에 흡연을 시작할수록 이후 금연이 더 힘들다는데 사실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Q. 어린 나이에 흡연을 시작할수록 이후 금연이 더 힘들다는데 사실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미성숙한 시기인 어린나이에 흡연을 시작하게 되면 그 위해는 더욱 커서, 니코틴에 의한 중독이 더욱 가중됩니다. 청소년은 흡연을 시작한 지 23개월 내에 흡연 중독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금연 시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린나이에 흡연을 시작하게 되면 성인이 흡연을 시작하는 것에 비해 흡연 기간이 길기 때문에 흡연량이 많으며, 니코틴의존도도 커져 더욱 금연의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외국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6세까지 흡연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경우 평생 흡연을 시작하지 않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흡연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선택이며, 이미 흡연을 시작했다면 하루라도 금연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Kandel DB, Hu MC, Griesler PC, Schaffran C. On the development of nicotine dependence in adolescence. Drug Alcohol Depend. 2007; 91(1): 26-39. *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4

공감마당

더보기

금연을 성공으로 이끄는 4가지 핵심 전략

※금연을 성공으로 이끄는 4가지 핵심전략 흡연 유발 상황 파악하기 예: 커피 마실 때, 식사 후, 스트레스 받을 때, 술자리 등 이런 상황을 메모해 두면, 미리 대체 행동(껌, 산책, 심호흡)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금단증상 관리하기 초반 2주가 가장 힘듭니다. 니코틴 패치 껌 로젠지 같은 보조제를 쓰면 금단 스트레스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환경 바꾸기 담배 라이터 제거, 흡연 친구들과의 약속 피하기, 술자리 자제 등 시각적 자극(담배 냄새, 커피컵 등)도 유혹을 자극하므로 정리해 두세요. 다시 피우지 않겠다 보다 오늘 하루만 참자 로 생각하기 장기 금연보다 하루 단위 목표가 훨씬 실현 가능하고 성공률이 높습니다. 금연은 한 번의 결심보다 반복되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혹시 한두 번 피웠더라도 실패 로 생각하지 말고, 다음엔 어떻게 다르게 대응할까? 를 점검하면 됩니다.

금연정보_함께 시작해요

[그림으로 보는 금연이야기]표지 금연 졸음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금연 졸음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금단증상 금단증상 바로알기

금단증상 정의 금단증상이란 장기간 사용했던 약물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신체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산물들이며 일시적인 증상입니다. 금연 후 금단증상이란? 흡연은 담배 성분 중의 하나인 니코틴에 의해 중독을 일으키며 니코틴 의존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끊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담배의 니코틴이 뇌안의 n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도파민을 분비하면서 니코틴 의존도가 발생하며 담배는 니코틴 의존도를 높이기 위해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금연에 의한 금단증상의 경우 니코틴을 담배를 통해 더 이상 공급받지 못 하는 경우에 생기게 되며 금연 후 1주 이내에 그 증상이 최고조에 이르며 2 ~ 4주 동안 지속되며 개인에 따라 수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흡연자가 금연으로 인한 니코틴 금단증상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더 강력한 니코틴 의존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단증상은 1~2주에 최고치이고 꾸준히 감소하며, 식용증가/체중증가는 1주~10주 까지, 흡연 욕구는 1주~13주까지 이루어진다 금연 후 나타날 수 있는 금단증상에는 기침, 가래, 갈증, 인후염, 짜증, 두통, 집중력 장애, 불안, 불면, 배변장애, 졸음, 식욕증가, 우울 등이 있으며, 여러 금단증상 중 우울 및 집중력 장애 등의 증상은 4주 이내에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지만, 흡연에 대한 갈망과 같은 금단 증상은 상당 기간 지속되며 개인에 따라 수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흡연자가 금연으로 인한 니코틴 금단증상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더 강력한 니코틴 의존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연기간에 따른 금단증상 종류 금연기간에 따른 금단증상의 종류 금연기간에 따른 금단증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이며, 금연1주와 금연2~4주 사이에 경험할 수 있는 증상을 나열하였습니다. 금연 1주 금연 2 ~ 4주 ① 강한 흡연욕구 (craving) ② 배고픔 (hunger) &#

추천검색어 #금단증상 #금단현상 #중독증상 #중독증세 #니코틴중독 #기침 #가래 #갈증 #인후염 #짜증 #두통 #집중력 #불안 #배변장애 #식욕증가 #우울 #흡연욕구 #배고픔 #분노 #초조 #불면 #안절부절함 #변비 #졸림 #꿈 #구강웨양 #입병 #몽롱함 #집중곤란 #심박동감소 #과민 #좌절 #금연초기어려움 #금연초기힘듦 #금단기간 #니코틴의존 #금단증상기준 #금단증상기간

금연 지식 보기

금연 소식 _함꼐 확인해요

금연소식

소식 더보기

전문가 칼럼

[건강포커스] "50세 이후 금연해도 인지기능 저하 속도 크게 느려진다"

[건강포커스] "50세 이후 금연해도 인지기능 저하 속도 크게 느려진다" 美 연구팀 "암 치료 시작 후 금연도 효과 커 표준 암 치료에 금연 포함해야"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암 환자에게도 금연하기에 너무 늦을 때는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기 또는 4기에 금연하는 암 환자는 계속 담배를 피우는 환자보다 생존 기간이 평균 330일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의대 리슈윈 천 교수팀은 10일 전미종합암네트워크 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에서 암센터 외래진료 환자 1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6개월 내 금연 여부와 2년 내 사망의 관계 분석,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이 많이 진행된 환자일수록 금연의 이익이 더 커져 생존 기간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암 치료가 시작된 후라도 금연하는 것이 충분히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미국 암 환자의 약 25%는 암 진단 때 흡연자이고 이들 중 상당수는 치료 중에도 담배를 피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이는 '암에 걸린 사람, 특히 말기 암 환자에게는 금연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인식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천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가장 아픈 환자일지라도 금연이 너무 늦은 게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모든 암센터와 환자들이 금연을 표준 암 치료의 일부로 포함해 생존율을 높이도록 영감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워싱턴대 의대와 반즈-유대인병원 사이트먼 암센터 시행 중인 금연 프로그램을 활용해 2018년 6~12월 외래 진료를 받은 암 환자 1만3천282명을 대상으로 6개월 내 금연 여부 조사하고 이후 2년간의 생존율을 추적 비교했다. 사이트먼 암센터 금연 프로그램은 암 치료 과정에 금연 치료를 통합, 모든 암 환자에게 치료의 일부로 다양한 금연 지원을 함께 제공한다. 분석 대상 중 흡연자는 1천725명(13.

전문가칼럼 더보기

본 메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거 회원님의 수신동의에 의해 발송되는
‘메일입니다. 더 이상 수신을 원하지 않으신 경우 수신거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회원 : 금연길라잡이 홈>로그인>전체메뉴>마이페이지>개인정보수정>수신동의 E-mail 수신->'미수신' 변경
- 기타 : 금연매거진 수신거부 하기 수신거부

COPYRIGHT © 보건복지부 ALL RIGHT RESERVED. TEL : 1811-9079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