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금연성공비법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여성의 금연전략

대상자별 금연전략 등록일 : 2024-03-22 조회수 : 372 추천수 : 0

성별 흡연율 차이는 생리학적, 행태학적, 심리학적 요인은 물론 사회문화적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성 흡연의 원인과 특성

흡연할 때 니코틴에 의한 도파민 반응 속도와 지속성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높습니다. 이에 따라 여성이 남성보다 대체로 적은 양의 담배를 피우지만, 의존도는 오히려 더 높고 금단증상도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생리학적·행태학적 특성은 남녀의 흡연율과 금연 성공의 차이를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성별에 따라 흡연의 원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납니다. 남성의 경우는 흡연 자체가 좋다거나 즐거움을 위해서인 반면 여성은 주로 스트레스 완화나 부정적 감정(불안, 화, 슬픔, 우울, 기운 없음, 외로움 등)의 해소가 목적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남성들의 경우 회식이나 모임과 같은 환경적 유혹이 재흡연의 원인이 되는 것과 달리, 여성에서는 스트레스나 부정적 감정을 겪게 되는 것이 재흡연의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실제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나타나는 황체기(배란 이후 월경 시작까지의 기간, 즉 월경 전 증후군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여포기(월경 시작부터 배란 전까지)에 비해 금연 시도 시 성공하기 힘들었으며, 황제기에 금연에 성공한 여성들은 월경 전 증후군 증상이 원래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사회적 역할 전환과 독립성 표현의 방식으로 여성 흡연이 늘어나고,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여성을 겨냥한 담배회사의 마케팅 전략이 여성주의운동에 편승하면서 남녀 흡연율이 비슷해졌습니다.
반면 우리나라 여성 흡연율은 남성보다 매우 낮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유교적 가치관의 영향으로 사회적으로 남녀에 따라 흡연 사실을 받아들이는 정도에 차별적인 시선이 있어, 여성의 경우 흡연을 겉으로 드러내지 못하는 ‘숨겨진 흡연자 (hidden smokers)’가 상당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또한, 남성 흡연율은 감소하는 데 비해 여성 흡연율은 정체 상태이며 오히려 젊은 여성 중심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특정 직업군에서는 남성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여성 흡연율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도 합니다.

여성흡연자를 위한 금연전략

여성은 남성보다 흡연 시작이 덜 한 편이지만, 일단 흡연을 시작하면 생리학적, 정신약리학적, 사회환경적 특성의 복합작용으로 인해 남성보다 오히려 금연에 성공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 여성 특이적 흡연 원인에 대한 파악, 금연 성공에 영향력이 큰 금연 자신감과 정서적 지지 제공 방안 등을 고려한 금연 전략의 마련이 필요합니다. 

-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
사회문화적 환경과 여성 흡연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용납의 차이로 흡연 행태는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금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의 경우 매일 흡연 여부, 하루 평균 흡연량, 주로 흡연하는 시간, 흡연 간격과 같은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를 기반으로 금연계획과 지원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 여성 특이적 흡연 원인에 대한 파악과 관리
여성 흡연자의 경우 남성보다 생리적, 감정적으로 니코틴 의존에 더 민감한 편이며, 주 흡연의 원인 역시 정서적 감정적 변화와 스트레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금연 성공과 유지에 있어 ‘부정적 감정과 스트레스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반복적이고인 부정적인 감정과 스트레스는 우울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여성 우울증은 남성보다 2배 정도 높고, 우울증과 흡연과의 관련성 역시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과 우울증 중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지는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지만, 흡연자에게 우울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며, 이 경우 상대적으로 금연 성공이 어려운 편입니다.
따라서 금연 시작 전에 정서적 감정적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나 스트레스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긴장 완화 요령, 심호흡법, 스트레칭, 가벼운 산책 등과 같은 방법을 미리 알아두고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 밖의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으로 흡연하는 경우에는 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각각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면서, 내재된 문제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상담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금연 동기와 자신감 강화
금연 자신감은 남녀 모두의 금연 시도와 성공 가능성을 높이므로, 금연 시작 전에 계획과 준비를 충분한지, 금연 이유 또는 동기가 분명한지를 점검하는 것뿐만 아니라 금연 자신감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여성 흡연자의 경우 남성에 비해 금연 계획이나 준비 단계에 있는 경우가 적으므로, 흡연에 대한 판단과 교정보다는 긍정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금연 자신감을 더해  금연을 준비하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여성 흡연자 중에서도 가까운 지인들이 모두 흡연자여서 흡연 유혹에 자주 노출되거나, 혼자 숨어서 흡연하는 경우, 금연에 대한 지지와 도움을 받을 수 없어, 상대적으로 금연자신감이 낮고 금연 결심이나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편안하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가족, 친지, 친구 등을 금연 지지자로 정하여 도움을 받거나, 금연치료와 전문 상담을 통해 금연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금단증상과 비만 등 금연 후 상황 설명
금연 실천자가 금연 시작 과정에서 다양한 금단증상에 대해 미리 알고 아무리 심한 금단증상이라도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2주에서 4주가 지나면 사라진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금연 후에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 올바른 정보를 통한 예측은 금연 후 상황에 대해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여 재흡연을 예방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금연 후 체중증가는 특히 여성 흡연자에서 금연을 주저하거나 재흡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과학적인 체중증가의 원인(금연 후 미각세포 회복으로 인한 입 맛 좋아짐, 과식, 기초 대사량 감소, 금단증상으로 인한 식욕 증가 등)을 이해하고 적절한 신체활동을 통해 체중 조절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 <참고문헌>
    • Pampel, F. C. (2006). Global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sex differences in smo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47(6), 466-487.
    • Sieminska, A., & Jassem, E. (2014). The many faces of tobacco use among women.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20, 153.
    • Doran, N. (2014). Sex differences in smoking cue reactivity: craving, negative affect, and preference for immediate smoking.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3(3), 211-217.
    • Gritz, E. R., Nielsen, I. R., & Brooks, L. A. (1996). Smoking cessation and gender: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1972), 51(1-2), 35-42.
    • Pang, R. D., Andrabi, N., & Leventhal, A. M. (2017). Premenstrual symptoms and factors implicated in smoking cessation among woman smokers.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5(4), 235.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 성별 연령별 현재흡연율. 1998-2021.(조회일: 2023.9.7.) https://gsis.kwdi.re.kr/statHtml/statHtml.do?orgId=338&tblId=DT_LCD_A001
    • Jung-Choi, K. H., Khang, Y. H., & Cho, H. J. (2012). Hidden female smokers in Asia: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with cotinine-verified smoking prevalence rat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from an Asian population. Tobacco control, 21(6), 536-542.
    • Cho, H. J., Khang, Y. H., & Yun, S. C. (2006). Occupational differential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9(4), 365-370.
    • Borrelli, B., Bock, B., King, T., Pinto, B., & Marcus, B. H. (1996). The impact of depression on smoking cessation in wo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2(5), 378-387.
    • Stepankova, L., Kralikova, E., Zvolska, K., Pankova, A., Ovesna, P., Blaha, M., & Brose, L. S. (2017). Depression and smoking cessation: evidence from a smoking cessation clinic with 1-year follow-up.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51(3), 454-463.
    • Smit, E. S., Hoving, C., Schelleman-Offermans, K., West, R., & de Vries, H. (2014). Predictor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quit attempts among smokers motivated to quit. Addictive behaviors, 39(9), 1318-1324.
    • Li, S., Fang, L., Zhou, Y., Pan, L., Yang, X., Li, H., ... & Jia, C. (2015). Mediation of smoking abstinence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of nicotine dependence with smoking cess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5(2), 200-204.
    • Dieleman, L. A., van Peet, P. G., & Vos, H. M. (2021). Gender differences within the barriers to smoking cessation and the preferences for interventions in primary care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s in The Hague, The Netherlands. BMJ open, 11(1), e042623.
    • Hughes, J. R. (2007). Effects of abstinence from tobacco: valid symptoms and time course. Nicotine & tobacco research, 9(3), 315-327.
    • Grogan, S., Fry, G., Gough, B., & Conner, M. (2009). Smoking to stay thin or giving up to save face? Young men and women talk about appearance concerns and smoking.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75-186.
    • Farley, A. C., Hajek, P., Lycett, D., & Aveyard, P. (2012).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weight gain afte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이런 검색어는 어떠신가요?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