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흡연의 위험성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링크복사


순환계: 급성골수성백혈병, 당뇨병

흡연으로 인한 질병 등록일 : 2017-09-27 조회수 : 27136 추천수 : 1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백혈병은 혈액 또는 골수 속에 종양세포(백혈병 세포)가 생기는 질병입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성인의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남성에게 더 흔히 발생합니다. 백혈병의 대부분은 명확한 원인을 모르나, 흡연,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 흡연과 인과관계 있다는 충분한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담배연기에는 벤젠과 더불어, 이온화 방사선을 방출하는 폴로늄210, 납210이 들어있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백혈병 유발인자로 밝혀진 물질입니다.

흡연을 하는 백혈병 환자들에게서 특수한 염색체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렇게 특정 염색체에 이상이 나타난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는 염색체에 이상이 없는 환자에 비해 흡연자인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흡연자의 경우는 벤젠에 노출되는 90%가 담배연기로 인한 것입니다.

정확한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예방이 어려우나 일부 인과관계가 증명된 경우에는 가능한 한 그 원인을 피해야 합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 흡연과의 인과관계가 충분히 밝혀진 만큼, 백혈병 예방을 위해서 흡연을 피해야 합니다. 그 밖에 다량의 방사선 노출과 벤젠, 페인트, 제초제 등의 화학물질에의 노출, 알킬화제, 에토포사이드나 독소루비신 같은 항암제에 노출, 클로람페니콜, 페닐부타존 등의 약제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당뇨병이란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은 상태를 말하며, 우리 몸에서 에너지로 사용하는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 나간다고 하여 ‘당뇨병’ 이라고 부릅니다.

당뇨병은 췌장에서 탄수화물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인슐린이 생성되지 못하거나 몸의 세포에서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여 생기며 유전, 비만, 노화, 식이습관, 스트레스, 바이러스 및 약물 등의 원인으로 유발 됩니다. 당뇨병은 보통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임신당뇨병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합니다.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소아에 흔하며 충분한 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생기는 것으로 인슐린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입니다. 성인형 당뇨병인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체중과다 및 운동 부족 등으로 세포가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여 생기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당뇨병의 병력이 없는 임신한 여성에서 고혈당이 생기는 경우에 발병하게 됩니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다갈증 (과도한 목마름), 다식증 (배고픔으로 많이 먹게 됨), 다뇨증 (소변량이 많음), 빈뇨 (소변을 자주 봄), 체중감소, 피로입니다. 이외에 눈이 뿌옇게 보임, 다리 통증, 피부 건조, 가려움, 발기부전(남성의 경우), 음부 가려움증(여성의 경우), 상처치유 지연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당뇨병은 혈당관리를 잘하면 자각증상 없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으나 혈당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저혈당,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뇌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미세혈관 손상으로 인한 눈, 신장, 신경 손상으로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의 합병증을 통해 사망에 이르는 무서운 병입니다.

흡연이 당뇨병의 원인임이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흡연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30-40% 증가시키고 흡연량과 흡연기간에 따라 발병률은 증가됩니다.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니코틴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떨어뜨리고 체내 인슐린 사용 능력을 15% 정도 떨어뜨려 혈당 수치를 높입니다. 또한 흡연은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대혈관 합병증 뿐 아니라 미세혈관 변형을 일으켜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킵니다. 당뇨병이 있는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3배 이상 높아지므로 금연이 필수적입니다.

흡연과 질병/만성병 - 백내장

흡연과 질병, 만성병

  • 01.눈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기타 안과질환(실명, 따가움, 과도한 눈물 또는 깜박임)

  • 02.뇌와 신경계

    뇌졸중과 뇌혈관질환, 중독과 신경전달체계 변화

  • 03.머리카락

    냄새와 탈색, 탈모

  • 04.코

    만성 비부비동염과 후각 손상

  • 05.치아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 치아 변색

  • 06.입과 목

    두경부암, 식도암, 인후염과 목 아픔, 미각 손상, 입냄새

  • 07.귀

    중이염과 난청

  • 08.폐

    기관지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흉, 천식, 결핵, 코로나-19등 기타 폐질환

  • 09.심장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죽상동맥경화증, 기타 심장질환(고혈압, 신부전증, 말초동맥질환, 심방세동, 정맥혈전색전증, 돌연사/심장급사)

  • 10.가슴과 배

    위암, 췌장암, 대장암, 복부 대동맥류, 소화성궤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기타 소화기 질환, 유방암 질환 증가

  • 11.간

    간암

  • 12.남성 생식계

    전립선암, 발기부전, 불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 13.여성 생식계

    자궁경부암, 난소암, 조기 폐경, 조기 난소부전, 불임, 자궁외 임심

  • 14.비노기계

    신장암, 방광암, 신기능 손상

  • 15.손, 다리, 발

    버거씨병(폐쇄성 혈전혈관염), 수족냉증, 심부정맥혈정증 등 순환기 질환

  • 16.피부

    건선, 주름, 칙칙해짐 등 조기노화

  • 17.골격계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골절, 허리통증

  • 18.순환계

    급성골수성백혈병, 당뇨병

  • 19.면역계

    루푸스, 만성염증 유발 등 면역기능 저하, 감염 저항력 저하

  • 20.정신건강

    치매 및 인지 저하, 우울, 자살 등 정신건강 악화


  • <참고문헌-급성골수성백혈병>
    • Tanaka K, Tsuji I, Wakai K, Nagata C, Mizoue T, Inoue M, ? Tsugane S. for the Research Group for the Development, Evaluation of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in Japan. Cigarette smoking and liver cancer risk; An evaluation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among Japanese. Jpn J Clin Oncol. 2006; 36(7): 445~456.
    • Wakai K, Inoue M, Mizoue T, Tanaka K, Tsuji I, Nagata C, ? Tsugane S. for the Research Group for the Development, Evaluation of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in Japan. Tobacco smoking and lung cancer risk: an evaluation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al evidence among the Japanese population. Jpn J Clin Oncol. 2006; 36(5): 309~324.
    • Taylor B, Rehm J. When risk factors combine: The interaction between alcohol and smoking for aerodigestive cancer, coronary heart diseast, and traffic and fire injury. Addictive Behaviors. 2006; 31: 1522~1535.
    • Mizoue T, Inoue M, Tanaka K, Tsuji I, Wakai K, Nagata C, Tsugane S, ? Research Group for the Development, Evaluation of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in Japan. Tobacco smokign and colorectal cancer risk: An evaluation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among the Japanese population. Jpn J Clin Oncol. 2006; 36(1): 25~39.
    • Shankar A, Yuan JM, Koh WP, Lee HP, Yu MC. Morbidity and mortality in relation to smoking among women and men of Chinese ethnicity: The Singapore Chilnese Health Study. Euro J Cancer. 2008; 44: 100~109.
    • USDHH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tnion and Human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4.
    • IARC Wokr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ol. 83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Lyon, France: IARC, 2004.
    • Smoking and Tobacco Control Monograph No. 8. National Cancer Institute. December 1996
    • Smoking Cessation Guidelines for Australian general practice handbook 2004 edition.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 Yun YH, Jung KW, Bae JM, Lee JS, Shin SA, Park SM, Yoo T, Huh BY.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incidence risk in adult m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poration Study.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5; 29: 15~24.
    • USDHHS. The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Atlanta, GA: USDHHS, 1990.
  • <참고문헌-당뇨병>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15), Kasper, Dennis L, New York : McGraw Hill Education Medical
    •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How Tobacco Smoke Causes Disease The Biology and Behavioral Basis for Smoking-Attributable Diseas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이런 검색어는 어떠신가요?

페이지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확인
금연상담 카카오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